정부, 국내 3D프린팅 시장 2022년 1조로 키운다

2020-06-23

 

▲정세균 국무총리가 22일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보통신전략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



- 제2차 3D프린팅 기본계획 수립, 산업 현장 확산·실증 중점 추진

- 핵심 소재·장비·SW 기술 자립화, 선진국 대비 85% 기술수준 목표 


정부가 3D프린팅 정책 방향을 산업 현장에 적용을 확대하는 것으로 정하고 실증 및 핵심기술 자립화를 적극 추진한다.

 

정세균 국무총리는 22일 오후정부서울청사에서 제12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를 개최하고 제23D 프린팅산업 진흥 기본계획과 △디지털 미디어 생태계 발전방안 △디지털 포용 추진계획 △제2차 정보보호산업 진흥계획 △실감콘텐츠 인재양성 추진계획 등 5건의 안건을 심의·의결했다.

 

이번 회의는 비대면 서비스의 확산과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른 경제·사회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3D프린팅정보보호실감콘텐츠 등 새롭게 성장하고 중요성이 커지는 산업들의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마련됐다.

 

삼차원프린팅산업 진흥법 제정에 따라 마련된 지난 1차 기본계획(‘17~19)을 통해 시장 수요창출기술개발인프라 구축 등 초기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이 추진됐다.

 

정보통신산업진흥원(NIPA)에 따르면 국내 3D프린팅 시장은 20152,230억원에서 20183,958억원으로 성장했으나 교육·생활 분야 중심이며 특히 제조업 전반에 확산이 더디게 진행되면서 시장이 정체되고 있는 상황이다반면 해외에서는 항공·우주 등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3D프린팅이 적용적층제조 개념으로 발전하고 있다.

 

이에 정부는 23D프린팅산업 진흥 기본계획(‘20~22)’을 통해 산업 현장에 3D프린팅 활용 확산, 3D프린팅 미래기술 선점, 3D프린팅 기반 고도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.

 

우선 민간 중심으로 산업 현장에 3D프린팅 활용 확산을 위해 △의료기기건설 등 유망분야 기술 실증 △산업단지 대상(기계부품 등) 3D프린팅 기술 전(생산공정 적용을 통한 사업화 성공모델 발굴 등이 추진된다.

 

3D프린팅 미래기술 선점을 위해 △핵심 소재·장비·SW 기술 자립화 △3D프린팅 설계·공정·제어 분야 요소기술(최적화 SW, 모니터링 기술 등지능화 전환 등이 추진된다기술 자립화는 형상기억 고분자 원천 소재정밀·대형 부품 고속출력 장비산업용 3D프린팅 적층제조 SW 등 산업용에 초점이 맞춰진다.

 

기반 고도화 차원에서 현재 중소·전문기업 중심의 기업환경을 개선하기 위해 △인력 양성(신소재 분야 석·박사 과정 운영‘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’(기업지원 기관설립 및 △제도 정비(3D프린팅 서비스 사업자 안전교육 부담 경감과태료 하향등이 추진된다.

 

정부는 이러한 정책지원을 통해 국내 3D프린팅 시장 20221조원으로 확대연 매출액 100억원 이상 3D프린팅 기업 10개 이상 증가기술경쟁력 최고 선진국(대비 85% 수준 향상 등을 기대하고 있다.


출처:  http://amenews.kr/news/view.php?idx=42582